본문 바로가기
자기 계발 지식정보

비전공자의 SQLD 자격증 합격 후기 및 2가지 합격 비결

by 성공러너 2024. 11. 20.

목차

    1. SQLD 합격 후기

    ☆ 비전공자도 단기간에 반복적 외우면 'PASS' 가능합니다. (공부 기간 : 최소 한 달)

    우선 저는 기계공학 전공이자 비전공자로써 IT에 대해 전혀 모르고 열심히 공부하고 외운 결과 PASS를 하여 어떻게 공부를 했는지 합격 비결에 대해 소개를 하고자 합니다.

    2024년 08월 24일(토요일)에 시행된 제54회 SQLD 증명서입니다. 시험점수는 68점으로 나름 만족하게 점수가 잘 나온 것 같습니다.

     

    SQLD-자격증명서
    SQLD-자격증명서

     

     

    SQLD-시험-결과
    SQLD-결과

     

     


     

    2. 1번째 합격 비결

    비전공자이면 우선 단기간에 획득을 위해 이해보다 자주 나오는 부분만 외우는 것이 제일 효과적이라고 판단됩니다.

    저는 교재 책을 사서 독학으로 공부를 하였는데 기출문제를 보고 자주 나오는 부분만 정리하여 외웠습니다. 총 2과목으로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각 과목 구성 별로 시험에 자주 나오는 중요 핵심 요약만 정리해 보겠습니다.

     

    2-1)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1과목에서 밑에 제가 작성한 주요 핵심 개념 요약 내용들은 외우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1.

    모델링의 특징
    추상화 단순화 명확화

     

    2. Data 모델링 유의점

    → 모델링은 시스템 구현을 포함한 업무 분석 및 업무 형상화의 목적이 있다.

    → 데이터베이스 구축용도도 있지만, 업무를 설명하고 분석하는 부분도 존재

     

    3.

    모델링의 3가지 단계
    개념적 논리적 물리적

     

    4.

    ERD 작성 순서 (위에서 아래의 순서)
    엔티티 도출(그리기)
    배치
    엔티티 관계 설정
    관계명 기입(기술)
    관계 참여도 기입
    관계 필수/선택

     

    5.

    발생시점의 따른 엔티티 분류
    기본 중심 행위

     

    6.

    속성의 특성 분류
    기본 설계 파생
    (계산하는 값들 평균, 재고 등)

     

    7. 속성 명칭 부여

    1) 서술식 속성명은 사용 불가(X)

    2) 약어 사용은 가급적 제한

    3) 유일성 확보 (일관성 아님 X)

     

    8.

    관계 표시법
    관계명 관계차수 선택성

     

    9. 데이터 베이스 스키마 구조 3단계

    데이터 베이스 스키마 구조 3단계
    외부 개념 내부

     

    10. 주 식별자(PK)

    유일성 / 최소성 / 불변성 / 존재성

    후보키의 특징 슈퍼키의 특징
    유일성 최소성 둘 다 만족 유일성만 만족, 최소성은 불만족

     

    2-2) 기본 및 활용

    PK 제약조건 시 PK의 4가지 위치

     

    SELECT문 실행 순서

    FROM → WHERE → GROUP BY → HAVING → SELCET → ORDER BY

     

    COUNT(*) : Null값을 포함한 모든 행의 수

    COUNT(column 1) : Null값을 제외한 행의 수

     

    SQL 문장 종류
    1) 조작어(DML) SELECT, INSERT, UPDATE, DELETE
    2) 정의어(DDL) CREATE, ALTER, DROP, RENAME
    3) 제어어(DCL) GRANT, REVOKE
    4) 트랜젝션 제어어(TCL) COMMIT, ROLLBACK

     

    Group by, Having절

    COUNT, SUM, AVG, MAX, MIN

     

    삭제 관련 차이점 정리
    Drop Rollback불가능 (로그를 남기지 않는다.) auto commit
    Truncate Rollback불가능 (로그를 남기지 않는다.) auto commit
    Delete Rollback가능(로그를 남긴다.) 사용자 commit

     

    그룹 함수

    Rollup / CUBE / Grouping sets

    (Union All과 결과가 동일하다.)

     

    WINDOW함수

    윈도 함수 기본 문법

    → 윈도 함수() OVER (Partition by column Order by column ASC or DESC RANGE BETWEEN A AND B)

    Partition by : 행분 할

    Order by :  행정렬

     

    RANGE BETWEEN A AND B

    → RANGE BETWEEN UNBOUNDED PRECEDING AND CURRENT ROW

    UNBOUNDED PRECEDING : 최종 출력될 값의 맨 처음 ROW의 값.

    UNBOUNDED FOLLOWING : 최종 출력될 값의 맨 마지막 ROW의 값.

     

    ROW NUMBER : 순서대로 1,2,3,4,5

    RANK : 1,2,2,4,4,6

    DENSE RANK : 1,2,2,3,4,5

     

    행의 순서함수

    LAG(이전 값)

    LEAD(다음 값)

     

    집합 연산자

    Union 합집합, 중복제거(O)

    Union All 합집합, 중복 제거(X)

    Intersect 교집합, 중복제거(O)

     


     

    3. 2번째 합격 비결

    교재는 '노랭이' 라고도 불리고 유명한 책입니다. 저의 공부한 비법은 책을 무조건 외웠습니다. 다른 사람들처럼 다 하는 뻔한 기출문제 완주 2-3회가 아니라 진짜 시도 때도 없이 이 책을 봤습니다.

    우선 1번째의 핵심 요약 부분을 외우고 각 문제마다 중요한 키워드를 맞춰가면서 공부를 했습니다.

    그리고 교재로 공부하면서 특이한 점 2가지를 발견했습니다.

    • 객관식이므로 '모두', '만'이라는 것은 틀린 답일 확률이 높으며 실제 이 책에서 이런 문제는 틀린 답일 확률이 높습니다.
    • 문법이 '다음 중 옳은 것은?'이라는 문제가 많기 때문에 문법을 이해하려고 하지 말고 객관식 문제에서 다른 부분들을 체크하고 그 문제의 키워드를 외웠습니다.

    이 책에서 똑같은 문제 5문제 정도 나왔습니다.

     


     

    4. 주관적 견해 및 요약

    쉽지는 않지만, 특히 비전공자이면 시간이 부족하고 암기를 해야 하는데 저는 어떻게 전략적으로 암기를 해야 하는지에 대해 알려주고 추천드리는 것입니다.

    기출문제를 최대한 많이 풀어보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였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