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경력기술서란?
실무 경험과 역량을 정리하여 기업에 제출하는 문서입니다. 이력서가 간략한 개요라면 경력기술서는 구체적인 업무 경험, 그리고 직무 전문성을 강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특히, 회사가 원하는 인재임을 어필하기 위해서는 직무와 관련된 경험을 전략적으로 구성해야 합니다.
2. 1분 만에 합격하는 경력기술서 핵심 요소
핵심정보부터 먼저 기재
어느 부서나 바쁘겠지만 채용담당자는 긴 글을 일일이 다 읽을 시간이 없습니다. 가장 중요한 내용을 제일 위인 상단에 배치하는 역피라미드 구조를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예를 들어, 마케팅 지원자
- 온라인 광고 최적화를 통해 매출 30% 증가
- 고객 행동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탈률을 15% 감소
- SEO 전략 도입으로 사이트 방문자 수 2배 증가
이처럼 가장 임팩트 있는 좋은 결과를 첫 문장에 강조를 하면 채용 담당자의 이목을 끌 수 있습니다.
문제 해결 중심 서술(CAR 기법 활용)
CAR 기법은 Challenge, Action, Result의 순서로 내용을 구성하는 방식입니다.
문제 해결 역량을 강조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CAR 기법 적용(영업직 지원자 사례)
- Challenge(과제) : 매출 정체로 인해 기존 사용자 이탈률 개선
- Action(실행 조치) : 소비자 맞춤형 프로모션 기획 및 CRM 시스템 개선
- Result(성과) : 소비자 재구매율 40% 확대, 신규 구매자 유입 25% 증가
이처럼 문제를 해결한 과정과 결과를 논리적으로 설명하면 강한 인상을 줄 수 있습니다.
구체적인 데이터와 성과 수치 활용
채용 담당자는 정량적인 수치 포함된 경력기술서를 선호한다고 합니다. 막연한 표현보다는 수치로 증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잘못된 예시 :
"고객 만족도를 높이는 마케팅 전략을 실행함"
"직무 효율성을 개선함"
✅ 올바른 예시 :
"피드백 반영 후 맞춤형 프로모션 진행 후 구매자 만족도 85% 달성"
"직무 프로세스 자동화 도입 후 처리 시간 30% 단축, 인건비 15% 절감"
직무와 관련된 핵심 기술 나열
회사가 원하는 역량을 주요 부분만 리스트 형태로 정리하면 가독성이 높아집니다.
*IT개발
- Python 및 java를 활용한 백엔드 개발
- RESTful API 설계 및 개발
- AWS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시스템 구축
*마케팅
- 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마케팅 지표 최적화
- SEO 및 SEM 최적화 전략 운영
-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시스템 활용
직무 연관성이 높은 경험을 강조(FAB 기법 활용)
FAB 기법은 FEATURE(특징), Advantage(장점), Benefit(혜택)을 강조하는 방식입니다.
자신의 경험과 기술이 기업에 어떤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지 설명하는 데 유용합니다.
*FAB기법 활용법(마케팅 전문가)
- Feature(특징) : 구글 애널리틱스를 활용한 데이터 분석 역량 보유
- Advantage(장점) : 타켓 사용자 세분화를 맞춤형 광고 캠페인 기획 가능
- Benefit(혜택) : 소비자 전환율 25% 증가, 광고 비용 20% 절감 효과 달성
3. 경력시술서 작성 시 주의 사항
- 장황한 문장 사용하지 말 것 → 1분 안에 핵심 전달 불가
- 불필요한 개인사 언급하지 말 것 → 직무 연관성이 없는 내용은 배제
- 성과 없는 업무 나열 하지 말 것 → 결과 중심으로 작성
- 직무와 관련 없는 경험 강조 금지 → 지원하는 직무와 일치하는 경험 중심
단순한 리스트가 아닙니다. 기업이 원하는 역량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문서여야 합니다.
4. 1분만에 합격하는 경력기술서 좋은 예시
마케팅 부서의 [경력 사항]
ABC 마케팅 회사 (2020.03 ~ 현재)
- 디지털 광고 최적화를 통해 매출 30% 개선
- 구글 애널리틱스를 활용해 소비자 행동을 분석하고 맞춤형 마케팅 전략을 실행
- SEO 및 콘텐츠 전략 개선으로 사이트 방문자 수 2배 향상
XYZ 스타트업 (2018.06 ~ 2020.02)
- 이메일 마케팅 자동화 시스템 도입으로 전환율 20% 향상
- 신규 고객 유입을 위한 콘텐츠 마케팅 기획
5. 주관적인 견해 및 요약
많은 지원자들 중에서 눈에 띄게 가독성이 좋고 관련 부서와 연관된 경험과 성과가 있어야 하니 쉽지 않은 문서임은 분명하다고 생각합니다.
자주 글쓰기 연습하고 수정하고 쓰다 보면 면접 또한 이 문서를 보면서 질문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예상 질문을 예상하기도 좋고 수치화를 하여 쓰다 보면 1분 만에 합격하는 경력기술서가 탄생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자기 계발 지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MZ세대가 스레드를 쓰는 5가지 이유 (0) | 2025.02.05 |
---|---|
포트폴리오로 면접 합격한 후기 : 비법 공개 (0) | 2025.02.04 |
100% 합격하는 자소서 작성법 (0) | 2025.02.02 |
퇴직연금으로 돈 불리는 황금 비법 5가지 (0) | 2025.02.01 |
ISA 수익률 높이는 관리 비법 (0) | 2025.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