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기 계발 지식정보

[Make Time]타임 블로킹의 새로운 패러다임(책 리뷰)

by 성공러너 2024. 12. 18.

목차

    우연히 'Make Time'이라는 이 책은 타임 블로킹의 기법을 기반으로 시간 관리를 어떻게 효과적이고 효율적이게 하는지에 대한 기법과 이야기를 합니다.

     

    make-time
    make-time

     


     

    1. 타임 블로킹(Time Blocking)

    하루를 일정한 시간 단위로 나누고 각 시간대마다 할 일을 정리하는 효과적인 시간 관리 기법입니다.

    오전, 오후 등 일정한 시간 블록을 정해 생산적인 활동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방식입니다.

    1-1) 주요 원리

    크게 4가지의 주요 원리로 구성됩니다.

    ⓐ 우선순위 설정

    → 하루 중에 계획한 리스트에서 가장 중요한 일을 우선적으로 미루지 않고 정하는 것입니다.

     

    ⓑ 최대 집중

    → 멀티 태스킹의 부작용을 최소화 및 줄이고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합니다.

     

    ⓒ 유연성 유지

    → 모든 계획은 변경 가능성 및 변수에 대해 대비를 해야 합니다. 예상치 못한 일이 발생한 경우를 대비를 하여 여유 시간을 포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목표와 연계

    → 장기적인 목표를 세워 계획의 실행 가능성과 목적성을 동시에 강화합니다.

     

    1-2) 주요 장점

    ⓐ 집중력 향상의 효과

    → 하루에 부여된 해당 시간이 명확하므로 한 가지 일에만 집중이 가능합니다.

     

    ⓑ 생산성 극대화의 효율

    → 시간을 투자 개념으로 바라보면 더 높은 생산성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명확한 시간 활용

    →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배분을 하기 때문에 낭비를 줄이고 계획적인 시간 관리가 가능합니다.

     


     

    1-3) 효율적 실행 방법

    ① 목표 설정하기

    → 하루, 한 주, 월 단위로 목표를 정합니다. 계획의 방향성 수립

     

    ② 우선순위 평가

    → 목표 달성을 위한 가장 중요한 순서 파악

     

    ③ 시간 블록 구성

    → 하루를 크게 몇 개 블록을 나누고 각 블록마다 구체적인 작업을 배정한다.

     

    ④ 유연한 계획 수립

    → 예상치 못한 일이 발생할 가능성을 고려하여 여유 시간 추가

     

    ⑤ 피드백

    → 하루 계획을 평가하고 필요 부분을 조정한다.

     


     

    2. To Do List와 차이점

    *To do list : 당일 날의 해야 할 일의 목록입니다.

    *Time Blocking : 해야 할 일을 넘어 더 나아가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해야 할 일을 체계적으로 구성합니다.

     


     

    3. Make Time 주관적 견해 및 요약

    개인적 생산성 향상뿐만 아니라 정신 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해야 할 일을 정확하게 선택하고 다른 사람에 휘둘리지 않고 작업을 하기 전에 아이디어를 고려하고 잠재의식을 활성화하고 계획 단계에서부터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 이 책의 주요 내용입니다.

     

    책의 진정한 가치를 이해하려면 요약이 아닌 직접 읽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래서 책을 직접 읽어야 저자의 핵심 메시지를 온전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해석의 차이와 이해의 의미가 다르기 때문에 책에 대한 매력과 의미는 직접 읽으면서 명상과 사고하는 방식을 다시 되새기는 것이 책이 사람을 만드는 지침서라고 생각합니다.

     

    이 책을 통해 기존의 시간 개념을 넘어 시간 관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경험할 수 있었습니다. 타임 블로킹을 통해 시간 사용 방식을 조정하면 목표 달성과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